본문 바로가기

자유로여정105

생산 관리 #6 - 린 시스템 설계 2편 린 시스템 설계 2편 , 제조현장 여덟 가지 낭비 여덟 가지 낭비 지난 린 시스템 설계 1편에서 전체적인 내용을 살펴봤다. 린 시스템 설계는 가치를 극대화하는 생산제조 시스템이라고 설명했는데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반대되는 개념인 "비 부가가치"를 최소화해야 한다. 린 시스템 설계에서는 이러한 비 부가가치에 대한 낭비로 여덟 가지 낭비를 이야기하고 있다. 1. 과잉 생산 필요하지도 않은데 미리 생산하여 불량품이 만들어지더라도 알아차리기 어렵게 하고 재고와 리드타임의 증가를 초래하는 행위이다. 과잉 생산할 경우에는 재고가 증가하고 증가한 재고에 대한 공간, 그에 수반되는 인프라에 대한 추가 비용이 들어갈 것이고 단순하게만 따져봐도 관리주체가 있어야 함으로 고정비 상승이 수반된다. 또한 공정 중 재고 (.. 2022. 6. 4.
생산 관리 #5 - 린 시스템 설계 1편 린 시스템 설계 (1) 토요타 생산 시스템? 우수 자동차업체로 모범처럼 생각하는 회사를 하나 선택하라고 하면 아마 토요타를 생각하게 될 것이다. 토요타는 세계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북미에만 13개의 공장이 있고 2008 회계 연도에 316,000명의 종업원이 891만 대의 차를 생산하여 GM을 제치고 세계 최대 자동차 업체의 지위를 차지했다. 이런 성공의 상당 부분은 토요타 생산 시스템 덕분이다. TPS(Toyota Production System) 은 오늘날 존재하는 세계에서 가장 높이 평가받는 린 제조시스템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이 시스템을 따라 하는데는 어려움이 가득하다. 무엇이 린 제조 시스템을 작동하게 하여 다른 자동차업체들과 달리 유독 토요타만 린 제조 시스템을 많은 공장에서 아주 성공.. 2022. 6. 4.
파이썬 gui #3 - Qt 디자이너 기초 사용 (pyqt5) 2편 동작 연결하기(Signals/Slots) 안녕하세요 자유로여정입니다. 오늘은 pyqt5 2편으로 지난번 포스팅했었던 기초 layout에 Qt디자이너의 Signals/Slots 툴을 이용하여 이벤트를 작동하게 해보겠습니다. (사용자가 버튼을 눌렀을 때 동작 만들기) 기본적으로 창을 다시보시면 위에 Signals/Slots 이런 툴이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Qt디자이너 이벤트 연결 (동작 연결하기) 아래 내용은 Qt디자이너를 실행 후 기본적으로 발생하는 창입니다. 우리가 한 레이아웃에 한번 적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차례대로 진행하시면 어렵지 않을 거에요. 이제 우리가 지난 시간에 작성해놓은 기본 layout 위에 사용자가 버튼 클릭했을 때 (이벤트/Singal 발생 시) 동작이 발생되게하기 위해 아래에 1번 포인트 (Signals/Slo.. 2022. 6. 3.
파이썬 gui #2 - Qt 디자이너 기초 사용 (pyqt5) 1편 layout 잡아보기 안녕하세요 자유로여정입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파이썬 gui 두번째 시간입니다. Qt 디자이너라는 툴을 본격적으로 사용하여 간단한 gui 프로그램을 만들어보고자 합니다. 오늘 우리가 만들 것은 단순히 레이아웃을 꾸미는 것을 해보겠습니다. 어려워 보여도 기초부터 차근차근 해나가다 보면 금방 따라오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Qt 디자이너를 기본 layout 실습해보기 일단 지난 포스팅에서처럼 gui 프로그래밍을 위한 기본적인 환경셋팅이 끝났고 본격적으로 화면을 봐봅시다. 처음 Qt디자이너 기초편을 진행하는데 먼저 Qt디자이너를 실행시키면 다음처럼 화면이 나타날 것입니다. 처음 시작되는 환경에서 먼저 위 그림처럼 Create를 눌러서 실행해줍니다. 그러면 아무것도 없는 창이 하나 발생할 것인데 그 창 .. 2022. 6. 3.
생산 관리 #4 - 생산 전략 및 재고 전략 생산 전략 및 재고 전략 제조 프로세스의 전략에는 기본적으로 서비스 프로세스와 차이가 있다. 여기서는 고객에게 접촉이나 참여 뿐 아니라 재고가 활용되는 부분에서 많은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재고 관리 또는 정책에는 주문생산방식, 주문조립방식, 재고생산 방식이 있으며 이를 전략이라고 봐도 무방할 것 같다. 이들은 프로세스 선택과 조화가 이뤄져야한다. 프로세스는 앞장에서도 이야기했듯이 고객의 수요에 대하여 우리 회사에서 어떤 방식으로 생산체제를 갖춰야 할지에 대한 부분으로 충분히 논의되었었다. 생산 방식(전략)과 재고 방식(전략)은 서로 연관관계가 있으며 어떻게 적용되는지 간단하게 살펴보자. 1) 주문생산방식 - MTO ( Make To Order ) 고객의 수요 그리고 사양에 따라서 소량 생산하는 제조.. 2022. 6. 3.
생산 관리 #3 - 제조업의 프로세스 구조 제조업의 프로세스 구조 제조업체의 프로세스 중에서 상당히 많이 차지하는 부분은 사실상에 내 고객에 대한 서비스이므로 서비스에 대한 논의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제조업의 프로세스 행렬은 생산량, 제품 고객화, 프로세스 특성을 결합한다. 이 행렬은 제조할 제품과 제조 프로세스 자체를 연결한다. 훌륭한 제조 프로세스 전략은 무엇보다도 생산량에 따라서 달라진다. 서비스 분석을 위한 고객접촉도 행렬에서 가장 중요했던 고객 접촉도란 요인은 제조 프로세스에서는 일반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없다. ( 물론 제조업체들 사이에 존재하는 많은 서비스 프로세스에서는 고려해야 할 요인이다) 많은 제조 프로세스에서 높은 제품 고객화는 프로세스 내의 많은 단계에서 생산량이 적음을 의미한다. 고객화, 최고 품질 다양성이 모두 중요한.. 2022. 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