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꿀정보

부가가치세 신고방법 초간단 총정리 마무리 (부가가치세란, 부가가치세 셀프 신고, 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 비용)

by 자유로여정 2022. 7. 15.

부가가치세 발급편 2편입니다.

 

이전 편에서는 부가가치세의 개념과 확정납부 기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홈택스에 접속하여 셀프신고를 위한 준비과정을 치뤘죠.

세무사를 통해 진행하면 약 11만원의 부가가치세 신고 대행 비용이 발행합니다. 셀프로 해야죠 , 셀프로...!

 

 

사실 저도 이것저것 알아보면서 해도 잘 안되서 세무사 알아봤는데
1회 신고 대행 비용이 무려 "11만원" (부가가치세 신고 대행비용) 수준이더라구요. 

일년에 2번 하니 22만원이 그냥 빠져나가는게 너무 아까워 끝까지 해봤는데
한번만 해보면 충분히 어렵지 않습니다 !!!

 

오늘은 셀프신고을 통하여 빠르게 부가가치세 신고를 해보겠습니다.

한 가지 큰 맥락에서 정리하고 초간단, 총정리 들어갑니다.

 

 

큰 맥락에서 정리

부가가치세 신고금액 =
매출세액(매출액의 10%,다른말로 월세총금액의 10%) - 매입세액 (상가구매수수료) - 그밖에 공제액

위의 내용을 국세청에 신고하는 것입니다. 바로 같이 해봅시다 ~!!

 

 

-1편에서는

 

1.1 정기신고 접속 

1.2 전자세금계산서용 공인인증서로 로그인

1.3 기본정보 입력 및 입력서식 선택

 

위까지는 1편 내용이니 정보 필요하신분들은 1편 포스팅 참고부탁드립니다.

2022.07.13 - [현금흐름 높이기 (PIPE LINE)/꿀정보] - 부가가치세 신고방법 총정리 #1편 (부가가치세란, 부가가치세 신고방법, 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

 

부가가치세 신고방법 총정리 #1편 (부가가치세란, 부가가치세 신고방법, 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부가가치세 신고 기간이네요. 직장 생활 후 처음으로 국세청 메세지를 받아봅니다. 올해 상가를 취득한 것과 임대사업자로 등록이 되어있어 또 하나 귀찮은 과정이 생겨버렸네요. 내돈을 내는

waytofreedom.co.kr

 

 

1.4 신고내용 작성 - 해당 내용에 대해 알아봅니다.

스마트폰으로 해도 되고 PC로 해도됩니다. 둘 다 방법은 동일하니 전자세금계산서용 공인인증서를 보유중인 기기로 접속 후 로그인 합니다. 

 

혹시 전자세금계산서용 공인인증서가 없다면 아래를 참고하세요 ~!

2022.06.08 - [현금흐름 높이기 (PIPE LINE)/직장인 불로소득 만들기] - 상가 전자세금계산서, 전자세금계산서용 공인인증서 발급 받기

 

상가 전자세금계산서, 전자세금계산서용 공인인증서 발급 받기

안녕하세요 자유로 입니다. 오랜만에 연휴를 맞아 이렇게 또 글을 적습니다. 나름 상가주 (건물주라고 표현하기에는...) 가 되고 나니 할게 조금 생겼습니다. 빌라나 오피스텔의 경우 세입자의

waytofreedom.co.kr

 

 

 

 

홈택스 이동

 

 

 

STEP 1. 부동산임대공급가액 명세서 작성

 

 

 

순차적으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첫번째로, 부동산 임대가액공급 명세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부동산 임대가액공급 명세서는 우리가 기본적으로 임대인으로서 사업자등록증을 가지고

월세를 계약한 곳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들에 대해서 적습니다.

여기서 우리가 내야할 부가가치세의 매출세액 (월세 부가세의 합 + 보증금 이자금액) 이 잡히게 됩니다.

 

 

부동산 임대공급가액 명세서 작성

 

 

 

 

위처럼 임차인과 계약된 사항들에 대해서 작성하고 저장 후 다음을 눌러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STEP별로 끝나고 저장 후 다음이동을 눌러주세요 ~!!

 

 

 

 

 

 

 

 

STEP 2. 과세표준 및 매출세액 작성하기

 

 

 

위에서 기본적으로 입력했지만 전자세금계산서 등의 추가 정보를 입력하여 매출세액을 확인하는 단계입니다.

상반기 7.25일 확정신고는 1.1~6.30일까지의 매출세액이 잡히게 됩니다.

2 가지를 작성하면 됩니다. 아래 사진을 보시면

과세표준 매출세액 작성하기 2가지 단계

 

2.1 과세계산서 발급분 작성

 

 

 

간단합니다. 위에 그림에서 작성하기를 누르면 페이지가 이동하게 되는데

월세에 대한 내용만 입력하면 됩니다.

 

과세세금계산서 발급분 작성

 

저는 2개월분을 누락해서 4매로 전자세금계산서가 나오는데 2개월이 누락되어있었습니다.

따로 아래에 누락된 부분에 대한 세액을 입력하게 되어있으니 저처럼 누락하신분들은 해당 페이지 아래로 휠 이동하신 후 누락된 부분에 대해서 작성하시면 됩니다.

 

2.2 과세계산서 발급분 작성

 

 

 

보증금에 대한 이자 또한 매출세액입니다.

저는 보증금이 25,000,000원 인데 이자가 154,000 수준으로 잡히더라구요.

해당부분 또한 기입해줍니다. 부동산 임대공급가액 명세서를 작성했다면 자동으로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과세계산서 발급분 작성

 

 

STEP 3. 매입세액 작성하기

 

 

 

매출 세액을 작성했으면 매입세액을 작성해야겠죠?

보통은 상가인 경우에는 매입세액이 대부분 없을 것입니다. 

 

 

매입세액의 경우 상가,부동산에 대한 임차인의 요구로 발생하는 수리비, 수수료, 차량 (차량의 경우 기준 충족 시) 등의 부분이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 올해 계약해서 매입세액으로 부동산수수료 327만원에 해당하는 10%, 32만원 공제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매입세액 작성 페이지

 

 

 

 

 

STEP 4. 과세표준 입력 후 확인 입금하기

위의 순서대로 매출세액 입력, 매입세액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부가세가 최종 산정되게 됩니다.

과세표준은 간단하게 매출세액과 동일하게 작성하면 됩니다.

 

과세표준은 매출세액과 동일하게 작성합니다.

최종적으로 납부할 세액을 확인하면 됩니다.

 

납부금액 최종 산정

 

 

납부서 발행

 

 

 

생각보다 아주 간단하죠...?

한번만 쭉 읽고 따라해보면 매년 소비할 수 있는 부가가치세 대행신고금액

11만원 X 2 + 전자신고시 1만원 연간 24만원이 세이브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