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금흐름 높이기 (PIPE LINE)/직장인 패시브소득 만들기

티스토리 블로그 자동화 수익 만들기 #4 - 수익성 키워드 ( 키워드 마스터 , 키워드 검색량 조회 )

by 자유로여정 2022. 7. 5.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로 가는 길에 자유로여정입니다.

지속적으로 파이프라인을 만들어 가는 과정 중에 있습니다.

오늘은 수익성 키워드와 경쟁력 있는 키워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수익성키워드와 경쟁력 키워드에 대해 알아봅시다.

수익성 키워드 경쟁력 키워드

 

수익성 키워드? 경쟁력 키워드란 무엇일까?

 

 

우리가 날마다 포스팅을하고 사람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목적은 무엇일까요? 또는 여러분의 회사에 다니는 목적? 회사가 존재하는 목적은 무엇일까요? 사실 대부분의 활동들은 수익을 목적으로 합니다. 

 

 

포스팅을 하고 블로그를 운영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수익성, 즉 파이프라인의 자동화 수익을 창출하기 위한 일환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같은 포스팅을 하더라도 수익성이 나는 주제, 키워드를 선정해야합니다. 주제와 트래픽 유입에 대해서는 지난 포스팅에 알아보았습니다.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URL을 참고해주세요)

 

 

2022.07.02 - [현금흐름 높이기 (PIPE LINE)/직장인 패시브소득 만들기] - 티스토리 블로그 자동화 수익 만들기 #2 - 주제 정하기

 

티스토리 블로그 자동화 수익 만들기 #2 - 주제 정하기

안녕하세요 자유로여정입니다. 사실 블로그든, 유튜브든 처음하는 사람이 가장 어려운 것이 바로 주제 정하기가 아닐까합니다. 저도 나름 제가 경험하고 유익한 정보들을 엮어 주제로 만들어

waytofreedom.co.kr

 

수익성 키워드, 경쟁력 키워드란 주제와 마찬가지로 정보를 담는데 있어서 사용하는 "수익 발생이 가능한 키워드" 입니다.

웹에서 검색을 하는 검색량 대비 문서수가 적은 키워드가 그런 키워드가 될 것입니다.

구체적으로 수익성 키워드, 경쟁력 키워드을 찾아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수익성, 경쟁력 키워드 찾아보기

 

1. 키워드마스터, 키워드 검색량 조회 사용해보기

 

 

첫번째는 키워드마스터란 웹페이지를 활용하여 수익성 경쟁력 키워드를 찾아낼 수 있습니다. 

구글에서 키워드마스터 또는 아래 url를 사용하여 확인해볼 수 있겠습니다.

 

https://whereispost.com/keyword/

 

키워드마스터

블로그 키워드 조회툴

whereispost.com

해당 페이지에서 내가 사용할 키워드를 찾아봅니다. 

사용 방법은 간단한데요 위에 키워드에 제가 사용할 키워드를 검색합니다. 이번 포스팅의 제목과 같이 저는 블로그 수익에 대해서 창출해나가는 과정을 담고 있기 때문에 대표 키워드로 티스토리 블로그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의 경우 월 검색량이 8,400 인데 문서수는 256,941로 경쟁률은 30.5에 해당하고 있네요.

 

 

결론적으로 티스토리 블로그는 경쟁률 30.5으로 좋은 키워드는 아닙니다. 이런 키워드는 딱 좋다고 할 수 없지만 주제에서도 너무 벗어나면 안되기 때문에 세부키워드로 다시한번 포스팅 제목을 정해줘야합니다. 세부키워드는 앞의 티스토리 블로그, 또는 블로그처럼 대표 키워드를 부연설명해주는 키워드로 마찬가지로 키워드 검색을 통하여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키워드마스터 키워드 검색 결과

같은 포스팅을 해도 어떤 제목으로 키워드를 타겟팅하느냐에 따라서 수익성과 연관됨으로 해당 웹페이지를 이용하여 세부키워드를 함께 사용해 수익성 키워드, 경쟁력 있는 키워드에 대해서 꾸준히 탐색해봐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 제목도 역시 티스토리 블로그만으로는 경쟁력이 떨어져 제가 쓰고 있는 주제에 대해서 검색한 뒤에 아래 두가지를 추가해서 발행하게 되었습니다.

 

1. 키워드 마스터

2. 키워드 검색량 조회

 

 

키워드 마스터와 키워드 검색량 조회는 경쟁률이 1이 안되고 특히 키워드 마스터의 경우 앞도적으로 검색량 대비 문서 발행수가 적기 때문에 좋은 키워드 한마디로 수익성 키워드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

키워드 마스터와 마찬가지로 블랙키위라는 웹페이지를 사용해서도 같은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블랙 키위 사용법에 대해서는 따로 담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다음 키워드 검색량 조회

 

 

티스토리는 다음베이스로 대부분의 트래픽이 유입되기 때문에 다음에서 검색량을 조회하는 것도 중요한데요.

아래처럼 다음 키워드 광고에 계정을 만듬으로서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는 다음에서 가장 많이 검색되기 때문에 다음 검색량을 확인해볼 수 있도록 합니다.

구글에 카카오 비즈니스를 검색하거나 아래의 url로 이동하셔서 일단 카카오 광고계정을 만듭니다.

순차적으로 작성하셨으니 천천히 진행해보세요 !

 

 

https://business.kakao.com/info/keywordad

 

카카오비즈니스

비즈니스, 톡처럼 쉬워지다.

business.kakao.com

 

1. 카카오 비즈니스 접속

2. 맨 상위 탭 광고 > 키워드 광고 클릭

다음 검색량 조회 "카카오 비즈니스 메인페이지"

3.키워드 광고 시작하기 클릭

다음 검색량 조회를 위한 키워드 광고 접속

4. 서비스 약관 동의를 합니다.

5. 회원정보 입력 후 완료버튼을 누른다.

 

광고 계정 만들기 클릭, 사업자등록번호 없음 클릭하면 개인광고계정 만들 수 있습니다.

계정을 위와 같이 만들었다면 메인탭의 광고버튼을 눌러봅니다.

 

광고계정으로 생긴 아이디를 클릭하면 아래처럼 메뉴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좌측에 여러 메뉴가 보이는데 그중 광고자산관리>키워드 플래너에서 검색을 해보면 모바일과 pc에 대한 광고요청수를 통해서 검색량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광고노출수와 검색수는 동일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제 문서수를 조회하기 위해서는 다음에서 해당 키워드로 검색을 해보면 됩니다.

블로그 기준 최근1개월로 조회할 시 약 33만건에 해당하는 문서수가 발행된 것을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을 정리하면 문서수 대비 검색량이 많은 키워드 또는 박리다매 스타일 둘 중하나를 노려서 유입수를 늘려보도록 해보자는 것입니다. 수익을 만들어 내기 위해 검색량과 문서수를 조회해야하고 조회할 수 있는 웹페이지와 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