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이야기/코인과 주식

투자 성공원칙 6 가지 (feat : 서른살 전재산을 잃고 서른셋 건물주가 말하는...)

by 자유로여정 2022. 8. 18.

안녕하세요 자유로 여정입니다.
저는 서른살 전재산을 잃고 또 그 전재산의 수배를 벌어서 상가를 매입하였습니다.현재는 직장을 다니며 상가 2호수에서 나오는 월세를 받는 임대사업자입니다.


그 과정에서 크게 잃고 크게 벌기도하면서 반드시 지켜야 할 원칙들을 알게 되었습니다.앞으로 시장을 바라보고 투자하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되고자 포스팅남깁니다.


2022.08.04 - [현금흐름 높이기 (PIPE LINE)/통찰과 지식습득] - 직장인 재테크 방법 TOP 4, 리스트 총정리

직장인 재테크 방법 TOP 4, 리스트 총정리

22년 7월 현재 기준 , 직장인 재테크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본 포스팅은 투자권유의 목적이 없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오로지 본인의 몫임을 공지드립니다. 그 동안 코로나로 인한 양적

waytofreedom.co.kr


위처럼 지난번 포스팅했듯이 위험하긴 하지만 그래도 다른 자산에 비해서
매우 고수익을 만들어낼수 있다는 것에서 저도 한동안 매료되어 공부하고 또 투자했습니다.


결론적으로 2018년 제가 서른이전에 모은 모든 자산을 잃어봤고 배웠고 또 공부했고
2021년에는 잃은 자산보다 수 배 이상 벌었고 임대사업자가 됩니다.

그런 경험에서 확실히 느끼고 깨달은 것들이 있어 공유하면 좋을 것 같아 포스팅합니다.
간단하지만 지키지 힘들게 모은 돈을 크게 잃을 수도 있기 때문에 항상 투자는 유의해야합니다.


잃고 또 벌고 하지만 이제 목돈을 한번 더 잃는다면 되돌리긴 힘든 나이가 되었네요.
그래서 시드의 대부분은 안전자산 (상가 2채, 현금)으로 투자해놓은 상태입니다.

주식과 코인 성공투자 방법



어째뜬 조금이나마 처음 투자생각하시는 분들께 도움 되시도록 내용 기록해볼까합니다.


잠깐 !!!

본 내용은 절대 투자를 권하거나 리딩을 권하는 글이 아닙니다.

투자는 오로지 본인의 판단에 의해서 진행하고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피뢰침을 쏘는 미끼에 절대 내 목돈 전체를 투입하지 않는다.



중앙에 피뢰침 선 (급등 후 하락)

사례 . 서른살 전재산을 잃다.


2018년 리플이란 코인에 매료되어 목돈 전부와 이후 일년간 물타기 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 약 4천만원 투자한 것에서 300만원 정도가 남더군요.
서른살 번돈까지 물탔으니 5천만원 정도 쯤 투자했던것 같습니다.


이후 원칙 한가지가 생겼고 다시 큰 돈을 잃진 않게 되었습니다.
바로 "어떤 광기에서 만들어지는 매수세는 절대 따르지 않는다" 입니다.
오히려 그 매수세에 휘감겨 따라 매수한 사람이 파는 시점에 사는 것을 검토합니다.



순류가 역류를 일으킬 때 즉각 반응하는 것은 어리석다. 오히려 상대가 역류를 일으켰을 때
나의 순류를 유지하는 것은 상대의 처지에서 보면 역류가된다. 드라마 미생의 명대사도 있죠?

원칙 1. 급등하는 종목은 절대 추격매수하지 않는다.
원칙 2. 오히려 급등 후 뭔가 배후세력에 의해 10%~20%이상 순간 빠질 때 목돈의 5%만 수준만 투자해본다.






개별 종목보다는 시장의 흐름을 살펴본다.


선행지표의 흐름을 정확하게 확인한다 (나스닥)


결국 거시적으로 볼때 경제와 경제는 하나의 흐름이기 때문에 기준화폐인 달러, 즉 미국의 나스닥을 추종합니다.
나스닥의 움직임을 보고 상하방에 대한 흐름을 먼저 살펴보고 개별종목에 대한 투자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장의 흐름을 거스르는 종목은 정말 몇 안됩니다.
일반인들이 그런 종목들을 투자하여 하락장에서 돈을 번다? 아마 정말 운이 아니라면 어렵습니다.
현재 차트상 미온적인 상승 후에 하방에 대한 흐름이 예상되는 바, 목돈을 투자하기 보다는 정 투자를 한다면
단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됩니다.

원칙 3. 시장의 흐름을 읽고 전체 시장의 관점에서 흐름을 파악하고 투자한다.
원칙 4. 시장을 이기는 종목은 없다. 시장을 거스르는 투자는 피한다.




주변 사람들에 귀귀울여라


모두가 절대 웃을수는 없다.



제가 21년에 투자하고 번돈을 모두 정리하여 현금화한 시점은
바로 회사의 부장님께서 주식은 어떻게 하냐?, 코인은 어떻게 하냐? 묻고 실제로 돈을 쓴 시점과 비슷합니다.
모두가 참여하는 시점, 돈을 벌었다고 웃고 있는 시점, 모든 종목의 그래프가 수직상승하는 시점,
전혀 관심없는 사람이까지 시장에 참여하는 시점이 바로 시장에서 잠시 떠나있을 때 입니다.

제가 시장에서 모든 자산을 현금화하고 떠나니 그 뒤로 약 2개월 후 70%~80%가 하락하더군요
어떻게 아냐고요? 제가 2018년 바로 그때 들어가서 전재산을 잃었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투자를 검토할 시기는 모두가 떠나고 그 자리에 아무도 없을 때, 시장에 참여하는 사람이 없을 때
아무도 그 이야기를 하지 않는 시점이 될 것입니다.

모든 자산과 지표는 상승 후에는 하락이, 하락 후에는 다시 상승이 있습니다.
영원한 상승은 없고 현금화 하는 시점을 명확하게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원칙 5. 모두가 참여하는 시점, 돈 벌었다는 이야기밖에 들리지 않는 시점, 모든 종목의 그래프가 상승하는 시점
전혀 관심없는 사람까지 시장에 참여하는 시점, 그 시점이 절대적으로 조심해야하는 시점이며 잠시 시장에서
떠나 있을 시점이다.

원칙 6. 반대로 모든 사람들이 떠나있고 비명지를 때가 적절한 투자를 검토할 때이다.




투자 성공원칙 6가지 정리



정리하면 아래 여섯가지네요.

① 급등하는 종목은 절대 추격 매수하지 않는다.

② 오히려 그 종목이 다시 순류를 유지하려 할 때 역류흐름(급등)에서
매수한 사람들이 순간 패닉이나 공포로 팔아치울 때 분할매수한다.

③ 시장은 큰 흐름에서 이어진다. 개별 종목이 아니라 큰 흐름에서 나스닥 지수의 흐름을 파악한다.

④ 시장을 이기는 종목은 없다. 시장의 흐름을 거스르려하지말고 올라타자.

⑤ 모두가 참여하는 시점, 모두가 웃을 때가 바로 떠나있어야 할 때다.
떠날시점을 정확히 아는 것은 어렵게 모은 자산을 잃지 않게 한다.

⑥ 반대로 모든 사람들이 시장에서 떠나고 포기할 때, 비명지를 때 적절한 투자를 검토한다.


위의 6가지만 지켜도 아마도 크게 돈을 잃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저는 현재 시장에서 잠시 떠나있고 단기적으로 사고팔면서 최소한의 금액만 벌고 있습니다.
세계경제에서 기록적인 인플레이션 상승이고 그 전에 코로나로 인하여 유동성 증가하여 매우 깊은 늪에
빠질 수 있는 그런 시장 분위기입니다. 이럴 때는 최소한의 대응이 좋습니다.


저는 자산시장이 더 빠지는 시점 다시 투자검토할 예정입니다

댓글